if(!wcs_add) var wcs_add = {}; wcs_add["wa"] = "1594f35080cf9b0"; if(window.wcs) {   wcs_do(); } 마라톤 입문 훈련 방법 정리
캠핑,등산,요리,취미,생활,

마라톤 입문 훈련 방법 정리

by 산들바람소식 2025. 9. 30.
반응형

마라톤은 단순한 달리기가 아니라 체력, 정신력, 그리고 꾸준한 훈련이 만들어내는 도전의 결과물입니다. 하지만 처음 마라톤을 준비하려는 분들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무작정 달리기를 시작했다가 무릎 통증이나 호흡 문제 때문에 금세 포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라톤 입문자라면 체계적인 훈련 방법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속도로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라톤 초보자들이 꼭 알아야 할 기본 훈련 방법과 준비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마라톤

1. 마라톤 준비 전 체크리스트

마라톤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평소 운동을 거의 하지 않았다면 건강검진을 통해 심폐 기능이나 관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고혈압, 당뇨,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에 훈련을 시작해야 합니다.

또한 기본적인 장비도 중요합니다. 가장 먼저 신경 써야 할 것은 러닝화입니다. 발에 잘 맞지 않는 신발은 발목과 무릎 부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발 아치 형태에 맞는 러닝화를 고르는 것이 핵심입니다. 여기에 땀 흡수력이 좋은 러닝웨어, 수분 보충을 위한 보틀이나 러닝 벨트 같은 장비를 준비하면 훈련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2. 입문자를 위한 훈련 원칙

마라톤 훈련은 무조건 오래, 많이 달린다고 해서 좋은 것이 아닙니다. 초보자는 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점진적 증가
    → 주간 훈련 거리를 10% 이상 갑자기 늘리지 않는다.
  2. 회복의 중요성
    → 달리는 날만큼 휴식일도 중요하다. 근육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성장이 일어난다.
  3. 꾸준함
    → 일주일에 3~4회, 짧게라도 규칙적으로 뛰는 습관이 필요하다.
  4. 페이스 조절
    → 처음부터 전력 질주하지 말고, 대화가 가능할 정도의 속도를 유지한다.

3. 주차별 훈련 계획 예시 (10주 프로그램)

입문자라면 10주 정도의 기간을 두고 점차적으로 거리를 늘려가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예시 훈련 계획입니다.

  • 1~2주차: 2~3km 가볍게 조깅, 주 3회 / 걷기와 달리기를 번갈아 진행
  • 3~4주차:   주말에는 5km 완주 도전
  • 5~6주차: 5~7km 달리기, 주 4회 / 주 1회는 ‘롱런’으로 7km 이상 달리기
  • 7~8주차: 8~10km 달리기, 주 4회 / 인터벌 훈련(빠르게 1분, 천천히 2분) 추가
  • 9~10주차:   대회 준비 리듬으로 조정

이 과정을 통해 몸은 장거리 달리기에 적응하게 되고, 호흡과 페이스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4. 러닝과 함께 해야 할 보조 훈련

마라톤은 하체 근력만 필요한 운동이 아닙니다. 전신의 균형과 체력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완주가 가능합니다.

  • 근력 운동: 스쿼트, 런지, 플랭크 등 기초 근력을 강화
  • 스트레칭: 달리기 전 동적 스트레칭, 후에는 정적 스트레칭으로 근육 풀기
  • 호흡 훈련: 배로 숨 쉬는 복식호흡을 익히면 장거리에서도 안정적인 페이스 유지 가능

5. 식습관과 컨디션 관리

마라톤 훈련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식습관 관리입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균형 있게 섭취해야 하고, 특히 훈련 전에는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훈련 후에는 단백질과 수분 보충에 신경 써야 합니다.

또한 수면 역시 중요합니다. 하루 7시간 이상의 숙면은 근육 회복과 피로 해소에 필수적입니다.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무리해서 뛰는 것보다는 충분히 쉬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큰 효과를 줍니다.

6. 첫 대회를 준비하는 마음가짐

입문자가 처음 참가할 대회라면 5km 또는 10km 단거리 코스부터 도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풀코스(42.195km)는 최소 1년 이상 훈련 후에 도전해야 안전합니다.

대회 전날에는 무리한 훈련을 하지 말고 가볍게 몸을 푸는 정도로 마무리합니다. 아침에는 익숙한 음식을 가볍게 먹고, 출발 전에는 충분히 스트레칭을 해주어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록보다 완주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결론

마라톤 입문은 단순한 체력 도전이 아니라, 꾸준한 습관과 자기 관리의 결과입니다. 초보자일수록 욕심을 부리기보다는 작은 거리부터 시작해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훈련 계획을 세우고, 적절한 휴식과 식습관을 병행한다면 누구나 10km, 나아가 하프 마라톤까지도 도전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이번 주말부터 가까운 공원에서 가볍게 조깅을 시작해보세요. 오늘의 한 걸음이 내일의 마라톤 완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